【3·1운동 100주년】독립선언은 일본 단죄 아닌 인류의 이상 실현을 위한 숭고한 호소

PicsArt_03-13-10.45.31.jpg
일본가톨릭정의와평화협의회 회장 가쓰야 다이지 주교
日本語
올해 3월 1일은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을 부르짖으며 한반도 전역에서 사람들이 들고 일어난 3·1 독립운동 100주년을 맞는 날입니다.

일제 강점기인 1919년 3월 1일 파고다 공원에서 종교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독립선언서가 발표되고, 수만 명의 사람들이 '독립만세'를 외치며 서울 시내를 행진했습니다. 이 운동이 한반도 전역으로 확산되어 200만 명의 사람들이 동참했다고 합니다. 

이러한 3·1 독립운동으로 상징되는 식민 지배로부터의 독립과 해방을 갈망했던 한반도 국민들의 피나는 투쟁과 저항 정신은 오늘날 촛불 혁명과 남북 평화를 염원하는 몸부림으로 계승되고 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담화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의장 김희중 대주교는 2월 20일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3·1 운동 정신의 완성은 참평화'라는 제목으로 담화를 발표했습니다.

담화에서 김희중 대주교는 "백 년 전 많은 종교인이 독립운동에 앞장선 역사적 사실을 우리는 기억합니다. 그런데 그 역사적 현장에서 천주교회는 제구실을 다하지 못했음을 고백합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시대의 징표를 제대로 바라보지 못한 채 민족의 고통과 아픔을 외면하고 저버린 잘못을 부끄러운 마음으로 성찰하며 반성합니다"라고 했습니다

당시 3.1 독립선언서 작성에는 천도교(15명), 개신교(16명), 불교(2명)가 참여했으나 천주교인의 이름은 없었습니다.

이어 "조선 후기 한 세기에 걸친 혹독한 박해를 겪고서 신앙의 자유를 얻은 한국 천주교회는 어렵고 힘든 시기를 보냈습니다. 그런 까닭에 외국 선교사들로 이루어진 한국 천주교 지도부는 일제의 강제 병합에 따른 민족의 고통과 아픔에도 불구하고, 교회를 보존하고 신자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정교분리 정책을 내세워 해방을 선포해야 할 사명을 외면한 채 신자들의 독립운동 참여를 금지했으며, 나중에는 신자들에게 일제의 침략 전쟁에 참여할 것과 신사 참배를 권고하기까지 했습니다"라고 고백했습니다.

끝으로 "우리는 3·1운동의 정신을 이어받아 서로의 다름이 차별과 배척이 아닌 대화의 출발점이 되는 세상, 전쟁의 부재를 넘어 진정한 참회와 용서로써 화해를 이루는 세상을 만들고자 합니다. 한국 천주교회는 과거를 반성하고 신앙의 선조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후손이 되어, 한반도에 참평화를 이루고, 더 나아가 아시아와 세계평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기도하며 끊임없이 노력할 것입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일본의 책임

한편, 올해 3월 1일은 우리 일본 천주교회도 역사를 직시하고 한반도를 비롯한 아시아인들의 평화를 어떻게 이룰 것인지 다시금 물어야 하는 날입니다.

일본 천주교회는 일제 강점기 시대에 한국 천주교회에 크게 관여했고, 신도들이 일본의 침략전쟁에 협조하도록 촉구한 것에 대한 책임이 있습니다. 게다가 1945년 해방 이후 한국전쟁과 남북분단의 근원에는 메이지유신 이후 일본의 침략정책이라는 역사가 있습니다. 

지금도 정치적으로 한일 정부는 긴장 상태입니다. 그러나 우리 한일 천주교인들은 같은 평화의 복음으로 모인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이자 형제자매로서 과거 일본의 가해 역사를 직시하고, 문화, 종교 등 시민에 의한 다양한 교류를 돈독히 하는 일이 중요합니다. 이것이 100년 전 조선의 독립운동에 앞장섰던 사람들, 그리고 현재 한반도와 동아시아의 평화를 염원하는 사람들에게 지금 우리들이 해야 할 응답인 것입니다.

보편적 이상을 추구한 3·1 독립선언서

3·1 독립선언은 다음과 같이 호소합니다.

"병자수호조약 이후 때때로 굳게 맺은 갖가지 약속을 배반하였다 하여 일본의 배신을 죄주려는 것이 아닙니다. … 우리의 오랜 사회 기초와 뛰어난 민족의 성품을 무시한다 해서 일본의 무도함을 꾸짖으려는 것도 아닙니다. 스스로를 채찍질하고 격려하기에 바쁜 우리는 남을 원망할 겨를이 없습니다.

… 일본 제국주의 통치배들의 부귀공명의 희생이 되어 압제와 수탈에 빠진 이 비참한 상태를 바르게 고쳐서 억압과 착취가 없는 공정하고 인간다운 큰 근본이 되는 길로 돌아오게 하려는 것입니다.

아! 새로운 세상이 눈앞에 펼쳐지고 있습니다. 무력의 시대가 가고 도덕의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과거 한 세기 동안 갈고 닦으며 키우고 기른 인도주의 정신이 이제 막 새로운 문명의 밝은 빛을 온 인류 역사에 비추기 시작하였습니다.

새봄이 온 세계에 돌아와 만물의 소생을 재촉하고 있습니다. 혹심한 추위가 사람의 숨통을 막아 꼼짝 못하게 한 것이 저 지난 한때의 형세라면 화창한 봄바람과 따뜻한 햇볕에 원기와 혈맥을 떨쳐 펴는 것은 이때의 형세이니, 천지의 돌아온 운수에 접하고 세계의 새로 바뀐 조류를 탄 우리는 아무 주저할 것도 없으며 아무 거리낄 것도 없습니다.

우리가 본래부터 지녀 온 권리를 지키고 온전히 하여 생명의 왕성한 번영을 맘껏 누릴 것이며, 우리의 풍부한 독창력을 발휘하여 봄기운 가득한 천지에 순수하고 빛나는 민족문화를 찬란히 꽃피우게 할 것입니다."

즉, 이 독립선언서는 일본에 대한 비난과 단죄가 아니라, 차별이나 민족의 자기 결정권을 빼앗은 식민주의를 극복한다는 인류의 보편적인 이상 실현을 위한 숭고한 호소이자 초대였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당시 한반도의 국민들 뿐만 아니라, 100년 후 지금을 살아가는 세계의 모든 사람들이 기억하고 상기해야 할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우리 일본의 천주교 신자들도 한국 천주교회와 함께 이 '선언서'가 추구하는 지평을 바라보며, 국가보다는 인류를 위하여, 또한 그리스도인으로서 동아시아와 세계의 평화, 그리고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며 앞으로 전진해갈 수 있도록 기원합시다.
2019년 3월 1일

【3.1운동 100주년 기념】아벨형 독립운동과 가인형 독립운동

【종교개혁운동】아벨형 종교 민주화운동 전개할 때

【종교개혁 500주년】프란시스 교황, 가톨릭 사제들의 결혼할 권리 요청

【바티칸】종교 유엔

【교황 프랜시스】"하나님의 형상은 부부, 즉 남자와 여자"

【종교개혁 500주년】일본 가톨릭교회•루터교회 공동 기획 '평화를 실현하는 자는 복된 자' (11월 23일)

【김주호 칼럼】루터의 개혁정신 어디로 갔나

【종교개혁 500주년】월남 패망의 원인 '부정부패와 종교갈등'

【종교개혁 500주년】개신교, 다시 거듭나야 '예수님은 인간인가 하나님인가'

【종교개혁 500주년】하나님과 예수님의 심정 깨달아 '심정혁명' 일으킬 때

【베스트셀러】'예수의 눈물(장미의 눈물)' 십자가 혐오 신드롬! 그 속에 숨어있는 충격적인 비밀!!

【서적】목영일 교수의 '예수의 마지막 오딧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