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 염원하는 '베트남 피에타' 상

5-viet-han-1461824770.jpg4월 27일 한베평화재단 건립추진위가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 앞에서 공개한 '베트남 피에타' 상 모형(왼쪽)
日本語 English tiếng việt
4월 27일 한베(트남)평화재단은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회관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재단 발족 기자회견을 열고 베트남 민간인 희생자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조각상 '베트남 피에타'를 공개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노화욱 한베평화재단건립추진위원장(극동대 석좌교수)을 비롯해 명진스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이기도 한 인권운동가 이용수 할머니, 영화감독 정지용씨와 김조광수 등 각계 인사들이 참석했다.

노화욱 추진위원장은 "베트남전에서 한국군이 학살한 민간인 희생자가 무려 9천여 명에 이른다. 또한 한국군도 5천여 명의 꽃다운 젊은이들이 목숨을 잃었고, 1만 여명의 부상자와 2만 여명의 고엽제 후유증 환자가 지금도 고통에 신음하고 있다"며 "베트남전 종전기념일인 4월 30일을 앞두고 올해를 평화의 원년으로 삼고 동아시아 평화의 염원을 담아 한베평화재단의 첫걸음을 내딛고자 한다"고 밝혔다.

한베평화재단은 이날 아이를 안고 있는 여인을 본따 만든 동상 '베트남 피에타'를 공개했다. 일본군 '위안부' 소녀상을 제작한 부부작가 김서경ㆍ김운성씨가 구상한 '베트남 피에타'는 베트남 전쟁에 의해 희생당한 민간인들, 특히 태어난지 얼마 안돼 죽음을 맞이한 아이들을 추도하고 전쟁에 대한 사죄와 반성을 표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김서경 작가는 "단 하나의 예술작품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몇몇 예술작품들은 이성보다도 강력하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힘을 갖고 있다"면서 "한국과 베트남의 평화로운 미래를 위해 만든 '베트남 피에타'가 소리 한번 지르지 못하고 사라진 수많은 생명들을 우리들 앞에 다시 불러오는 역할을 해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명진스님은 발족에 참여한 동기에 대해 "베트남 파병 당시 저도 군인으로 참전했다. 돌이켜 보면 당시 전쟁이 과연 옳았는지 의심스럽다"며 "민간인이 학살된 것은 깊이 반성하고 용서를 빌어야 마땅하다. 아직 국가차원에서 사과를 한 적이 없는 만큼 민간 차원에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베평화재단은 앞으로 △평화운동 확산을 위한 대국민 캠페인 △올바른 역사관을 통한 미래세대 평화교육 실현 △베트남 전쟁에 대한 연구, 출판, 아카이브 활동 △한국-베트남 문화예술교류를 통한 평화, 화해 및 협력 증진 △베트남 전쟁에 대한 진실규명 및 피해자 지원 △참전군인을 아우르는 고통의 연대 및 동아시아 평화와 상생을 위한 아시아 시민연대 구성 등의 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4월 30일은 1975년 남베트남 정부가 무너지며 베트남전쟁이 끝난 날이다. 베트남전쟁은 1964년 통킹 만 사건을 구실로 미국이 북베트남을 폭격하면서 전면전으로 확대돼 10년 넘게 계속됐다. 한국은 1964년 비전투부대 파견에 이어 1965년부터 맹호, 청룡, 백마부대 등 전투부대를 베트남에 보냈다. 한국이 베트남에 파견한 병력은 연인원 30만 명이 넘어 미국 다음으로 많았고, 전쟁 중 1만 6000명이 다치거나 사망했다. 게릴라전의 근거지였던 숲을 없애고자 미군이 뿌린 고엽제로 인한 피해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으며, 미군과 한국군이 저지른 베트남 민간인 학살은 큰 상처를 남겼다.dm5KONrq.jpg김서경, 김운성 작가가 만든 ‘베트남 피에타’. 대지의 여신 위에서 엄마가 아가를 안고 있다. 1.5m 크기로 제작돼 베트남과 국내에 설치될 예정이다.

【한일교류】한일교류축제 2015 in Tokyo 'K-POP 시크릿 콘서트' 무료 초대!
【한일교류】한일교류축제 2015 in Tokyo '함께 창조하자 새로운 50년'
【한일교류】한일축제한마당 2015 in Tokyo
【한일교류】도쿄 신오쿠보 순환버스 'K-shuttle' 운행 개시
【한일교류】최배달 '한일 우정의 선구자'
【참 평화의 길 Ⅲ】역지사지(易地思之)
【박근령(朴槿令)씨 인터뷰】동양인의 시대적 사명 '초종교, 초국가, 초인종, 초종파'
【한국관광공사】주한일본인네트워크
【한일교류】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식
【한일교류】평화를 사랑하는 유네스코 "사람들 마음에 평화를 심자"
【한일교류】헤이트 스피치 対 러브 스피치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한일우정 페스티벌'을 위하여
【한일교류】조조엔컵 제16회 연예인 골프챔피언십 결정전
【한국 속의 세계시민】순창 다문화 여성시조합창단
【한일교류】조선의 은인들:일본인 독립운동가
【해상왕 장보고】현대판 '해신'들
【민족의 봄을 찾아서】민족계몽가 신석구 목사
【남북분단과 통일】70년 포로 및 귀환시대
【한일교류】"너를 잊지 않을거야" 한•일수교 50주년, 故이수현씨 부친에 감사패
【한일교류】재특회 연구 / 야스다 고이치
【한일교류】재특회와 일베
【역사】야마토다마시이와 문제 해결 능력
【교육】동서양 사상 요가
【한일교류】일본의 고대사 컴플렉스와 한국의 근대사 컴플렉스
【베스트셀러】"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 「지혜」는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

この記事へのコメント


この記事へのトラックバッ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