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세기 아스카(飛鳥)시대는 일본=왜(倭)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 전체가 격동하는 시대였다. 특히 당시 일본에게 가장 충격적이었던 것은 신라와 당의 연합군에 의해 백제가 660년에 멸망한 사건이었다. 게다가 중국 북동부에서 한반도에 걸쳐 번성했던 막강한 선진국 고구려가 668년에 멸망해 버린 것이다.
이렇게 급변하는 동아시아의 정세 속에서 일본 조정은 "다음 차례는 일본일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휩싸이기 시작했다. 그 결과 "일본을 지키기 위해서는 내실을 튼튼히 다져 정상적인 외교관계를 수립할 수 있는 나라임을 (당에게) 보여줘야 한다"는 것이 일본 조정의 최우선 과제가 되었던 것이다. 지금으로 말하자면 유엔에 가입하기 위해서 독립국으로서의 조건을 갖추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역사를 편찬해 일본에도 고유의 역사가 있음을 입증해야 했다. 또한 율령제를 도입해 국가의 기틀을 갖춘 다음 도읍지도 건설해야 했다. 그런데 이런 와중에 때마침 한반도에서 건너온 수많은 도래인(渡来人)들이 금속가공 기술을 전수하고 금광맥을 발견하는 등 최신 기술과 지식을 전해준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도래한 지식인들과 일본의 귀족들이 하나되어 새로운 국가 건설이 추진된 셈이다.
이와같이 덴치(天智)천황으로부터 덴무(天智)천황을 거쳐 일본 최초의 여성 천황이었던 지토(持統)천황에 이르기까지 3대에 걸쳐, 율령제도 정비와 도읍지 후지와라쿄(藤原京) 건설, 역사편찬 등 '국가 건설의 골격'이 형성되었다. 그 결과 당과의 외교가 재개됨에 따라 견당사(7~9세기 일본 조정이 당나라에 파견한 공식 사절)가 다시 파견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격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666년 고구려에서 파견된 사절단의 일원으로 방일한 고마오 쟛코우(高麗王若光)는 당대의 지식인으로서 일본 조정을 도왔다. 그리고 지금으로부터 1300년 전인 716년 5월 16일 쟛코우를 비롯해 관동(関東) 일대에 이주해 살고 있던 망명 고구려인 1799명이 미개척지였던 고마군 지역을 수준높은 기술로 개척해 오늘날 번영할 수 있는 기초를 닦았던 것이다. 사이타마(埼玉)현 서쪽 지역에서 번창했던 양잠과 종이 기술 등은 고마인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 고마(高麗)란 고구려를 가르키는 명칭으로, 신라가 멸망한 후 한반도를 통일한 고려(高麗)와는 다른 나라이다.
이와같이 고대의 일본사회는 긴 세월 동안 한반도의 고구려·백제·신라에서 도래한 수많은 사람들로부터 대륙의 뛰어난 기술과 문화를 전수받아 정치·산업·문화면에서 큰 진보를 이룰 수 있었던 것이다. 최근 특히 고마와 인연이 깊은 '고구려'를 무대로 제작된 '주몽' '바람의 나라' '태왕사신기' '연개소문' '대조영' '광개토대왕' '자명고' '칼과 꽃' 등과 같은 한국 드라마들은 고대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국제교류의 모습을 잘 그려내고 있다.
2009년 도쿄의 코리아타운 신오오쿠보(新大久保)역 주변의 지역활성화를 위해 창간된 '아시아뉴스'는 그동안 이 지역부흥을 위해 일조하고자 노력를 경주해 왔다. 우연의 일치인지 '다른 문화 사람들과의 공생(국제교류)을 통한 지역활성화'를 지향하고 있는 '고마 건군 1300년 기념사업'은 당사의 설립 취지와도 매우 부합한다. 바라건데 일본 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그리고 나아가서는 세계 경제활성화의 힌트를 제시하는 기념사업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한일교류】고마(高麗)군 건군(建郡) 1300년 기념 '고마왕 약광(若光) 걷기대회'
【한일교류】한창우・철(韓昌祐・哲)문화재단 2015년도 장학지원금 수혜자
【재일동포】한창우・철(韓昌祐・哲)문화재단 2015년도 장학지원금 수여식
【재일】연매출 2조엔 이상! 재일동포 기업가, 마루한의 한창우 회장!
【재일세계한인상공인연합회】2016년 신춘모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조선통신사 "다시 일어서라, 세계 평화의 사자들이여!"
【재일동포】'세계 고아의 날' 제정 서명운동 발족식, '韓 고아의 어머니' 윤학자 여사의 뜻을 기리자!
【재일동포】전라남도 도민회 '2016신년회'
【한일교류】한일 외무장관 회담・위안부 문제에 대한 한국민단중앙본부 오공태 단장 담화
【재일동포 미래창조포럼】유흥수(柳興洙) 주일대사 "한국과 일본은 일란성 쌍둥이"
【한일음악실크로드】3박자 리듬의 아리랑과 후루사토(故郷)
【국제교류】만화로 하나되는 '한중일 학생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2015'
【일한교류】조선독립운동가 윤봉길 의사
【한일교류】한•일음식페어 2015 in 아사쿠사
【한일교류】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 '빨간머리 앤' 공연
【한일친선우호의 모임 in Seoul】 조선통신사 ~260년 간의 평화와 우호~
【한일교류】한일친선우호의 모임 in Seoul
【박근혜 대통령께】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하는 사람-이와구니 데쓴도씨:"새로운 한일의 '新話' 창조하자"
【윤동주 매직】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한일교류】한일축제한마당 2015 in Tokyo
【한일교류】도쿄 신오쿠보 순환버스 'K-shuttle' 운행 개시
【한일교류】최배달 '한일 우정의 선구자'
【참 평화의 길 Ⅲ】역지사지(易地思之)
【박근령(朴槿令)씨 인터뷰】동양인의 시대적 사명 '초종교, 초국가, 초인종, 초종파'
【한국관광공사】주한일본인네트워크
【한일교류】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기념식
【한일교류】평화를 사랑하는 유네스코 "사람들 마음에 평화를 심자"
【한일교류】헤이트 스피치 対 러브 스피치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한일우정 페스티벌'을 위하여
【한일교류】조조엔컵 제16회 연예인 골프챔피언십 결정전
【한국 속의 세계시민】순창 다문화 여성시조합창단
【한일교류】조선의 은인들:일본인 독립운동가
【해상왕 장보고】현대판 '해신'들
【민족의 봄을 찾아서】민족계몽가 신석구 목사
【남북분단과 통일】70년 포로 및 귀환시대
【한일교류】"너를 잊지 않을거야" 한•일수교 50주년, 故이수현씨 부친에 감사패
【한일교류】재특회 연구 / 야스다 고이치
【한일교류】재특회와 일베
【역사】야마토다마시이와 문제 해결 능력
【교육】동서양 사상 요가
【한일교류】일본의 고대사 컴플렉스와 한국의 근대사 컴플렉스
【베스트셀러】"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프레임」" : 「지혜」는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는 것」
この記事へのコメン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