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어
금전적인 면에서 성공하거나 사회적 지위와 명예를 손에 넣은 사람들이 왜 지금까지 쌓아 올린 지위나 명성을 일순간에 잃어버리는 어리석은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인가?
높은 지위에 오르고 싶은 의지는 ‘감성’으로부터 나온다. 그러나 만일 목표 달성을 위한 ‘감성’ 에너지가 고갈되면 지금까지 오로지 앞만 보고 전력질주 해 온 인생의 방향을 전환하여, 급기야 자기파괴라는 반작용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그러기 때문에 이미 억만장자가 된 사람이라도 작은 뇌물에 현혹되거나 가정과 사회에 악영향이 미치는 것을 알면서도 성적 욕구를 자제할 수 없게 되고 만다.
다른 사람으로부터 인정 받기 위해 높은 사회적 지위를 얻고자 하는 사회적 풍조와 모처럼 성공을 거두었다 하더라도 ”이 자리를 얼마만큼 유지할 수 있을까?"하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또다시 자신을 강하게 채찍질한다.
그러나 높은 지위를 손에 넣고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욕구는 충족되지 않는다. 이제 인간의 뇌는 고생에 대한 대가로써 쾌락을 추구하게 된다. ‘심리적 보상’을 추구하는 뇌는 술이나 난폭성, 성충동 등의 ‘빠른 쾌락’에 빠져들기 쉽게 된다. 그 반면 ‘느린 쾌락’을 추구함으로써 정신적인 어른으로 성숙되는 길도 있다. 독서나 산보, 좋은 사람과의 대화, 여행 등을 통해서 그 동안 지친 마음을 푸는 방법이다.
“성공하면 ‘훌륭한 사람’ ‘존경받는 인간’이 된다.” “높은 지위에 오르면 행복하게 된다.”라는 막연한 기대감들은 사실상 고정관념에 지나지 않다. 그러므로 목표를 달성하자고 정진함과 동시에 꽃을 사랑하는 마음의 여유를 잃지 않고 일상 생활에서 균형을 잡는 일이 매우 중요한 것이다.
【인물】따귀 한 방으로 아들 살인범을 용서한 어머니
【교육】홍법대사(弘法大師)의 명언
【No Pain No Gain】범사에 감사하라 !!!
【No Pain No Gain】나비처럼 하늘을 날아라!
この記事へのトラックバック
この記事へのコメント